반응형
변수란 무엇인가?
변수(variable)는 쉽게 설명해서 변하는 수이다. 컴퓨터 프로그램은 값을 저장하기 위해서 변수를 사용한다.
프로그램에서는 변할 수 있는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 공간이 필요한데 이것이 바로 변수이다.
int x;
여기서 x가 변수이다.
변수는 정수형, 실수형, 메모리, 수치값, 문자, 문자열 등을 나타낼 수 있다.
상수란 무엇인가?
상수는 변하지 않는 수이다.
상수는 어디에 사용될까?
상수는 변수와 달리 변하지 않는 수를 다룰 때 사용된다. 예를 들어서 원주율 같은 경우는 3.141592.. 로 고정되어 있다.
#include <stdio.h>
int main(void)
{
double radius;
double area;
printf("원의 반지름: ");
scanf("%lf", &radius);
area = 3.141592 * radius * radius;
printf("원의 면적: %f \n", area);
return 0;
}
위의 코드는 원의 면적을 구해서 출력하는 프로그램이다.
여기서 변수는 radius, area이고 상수는 3.141592이다.
3.141592 같은 숫자는 리터럴 상수(literal constant)이고,
상수에 이름을 붙인 것은 기호 상수(symbolic constant)라고 한다.
#include <stdio.h>
#define EXAMPLE 50
int main(void)
{
printf("%d", EXAMPLE);
}
기호 상수는 define을 사용해서 선언한다. 위의 코드에서는 50이라는 숫자에 EXAMPLE이라는 이름을 붙였다.
이것이 바로 기호 상수이다.
기호 상수의 장점은 여러 곳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. 그리고 상수를 바꾸고 싶을 때 숫자를 바꿀 필요가 없고 위의 define문에서 바꾸면 기호 상수가 사용된 모든 곳에서 상수가 한 번에 바뀐다.
반응형
'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 강좌 1강 - Hello World 출력해보기 (0) | 2025.06.13 |
---|---|
C 더블 버퍼링(Double Buffering) (0) | 2025.02.05 |
C 강좌 0강 - 개발 환경 준비하기 (0) | 2024.11.24 |